사이버 보안

스마트폰 악성 앱이 몰래 찍은 사진 유출 사례와 사이버 보안 예방법

info-news2 2025. 7. 16. 10:00

당신이 모르는 사이, 카메라는 이미 작동 중일 수 있다

우리는 스마트폰 카메라가 켜질 때 ‘찰칵’ 소리나
카메라 앱 인터페이스가 화면에 떠야만 촬영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악성 앱은 사용자 몰래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진과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며, 때로는 외부 서버로 실시간 전송까지 할 수 있다.

실제로 2024년 들어 스마트폰 내 악성 앱을 통해 사용자 몰래 사진이 촬영되고,
유출되는 사례
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스마트폰 악성 앱이 몰래 찍은 사진 유출 사례와 사이버 보안 예방법


이러한 공격은 ‘스마트 스파이캠’이라고 불리며,
앱 설치만으로 개인정보 침해와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악성 앱이 몰래 카메라를 작동해 촬영한 사진이 유출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반드시 숙지해야 할 위험성과 대응책을 안내한다.

 

무료 필터 앱 설치 후 몰래 촬영된 사진이 유출된 대학생 한소민 씨의 경험

2024년 2월, 대학생 한소민 씨(21)는 SNS에서 유행 중이던
‘셀카를 인스타 감성으로 자동 보정해주는 앱’을 설치했다.
앱은 카메라 필터 기능과 보정 기능을 무료로 제공했으며,
설치 시 카메라, 저장공간, 마이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요청했다.

사용 후 앱을 자주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녀는 어느 날 한 익명 SNS 계정에서 자신이
실내에서 휴식 중이던 사진이 게시된 것을 발견했다.
그 사진은 본인이 의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촬영된 것이었고,
카메라를 켜거나 셀카를 찍은 기억도 없었다.

이후 보안 전문가의 분석 결과, 해당 앱은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30분 간격으로 카메라를 자동 활성화시키고,
사진을 압축한 후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있었다.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도록, 카메라 셔터 소리나 인터페이스는 표시되지 않도록 설계돼 있었다.

 

악성 앱이 몰래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

방식                                                                      설명
무음 촬영 모듈 탑재 시스템 사운드 없이 사진 촬영 가능
백그라운드에서 카메라 활성화 앱 실행 중이 아니더라도 주기적으로 작동
자동 전송 기능 사진을 클라우드 서버 또는 외부 FTP로 업로드
안드로이드 취약점 악용 구버전 OS에서 권한 우회로 무단 접근
정교한 위장 기능 앱 아이콘은 사진 보정, 카메라 앱처럼 위장
 

 

악성 카메라 앱으로 인한 피해 유형

  1. 사적인 공간 노출
    • 집, 기숙사, 화장실, 탈의실 등에서 무의식 중 촬영
  2. 신체 일부 노출·몰카 유포
    • 옷을 갈아입거나 자는 모습이 유출됨
  3. 사진 기반 신분 도용
    • 얼굴 사진을 이용한 SNS 사칭, 연애 사기 등에 악용
  4. 불법 유포 사이트에서 2차 유출
    • 사진이 특정 커뮤니티나 다크웹에 올라감
  5. 정신적 피해 및 사회적 관계 훼손
    • 유출된 사진으로 학교, 직장, 가족 내 불신 유발

 

관련 통계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 AV-Test 2023~2024)

  • 악성 카메라 앱 탐지 건수: 1,813건 (2023년)
  • 카메라 접근 권한 앱 중 실제 기능과 무관한 앱 비율: 37.6%
  • 무음 촬영 모듈 탐지된 앱 수: 81건 (Play스토어 외부 포함)
  • 피해자 연령층: 10대~30대가 전체의 69.4%

 

몰래 촬영 피해를 의심해야 할 상황

징후                                                                설명
배터리 급속 소모 백그라운드에서 카메라 작동 시 배터리 소모 증가
스마트폰 발열 증가 사용하지 않아도 기기 온도 상승
저장 공간 이상 증가 촬영된 사진이 로컬에 잠시 저장됨
앱 실행 내역 없음 사용자는 실행한 적 없는 앱이 카메라 접근 기록
셀카 앨범에 낯선 사진 존재 본인이 촬영하지 않은 앵글, 배경의 사진
 

 

스마트폰 카메라 보안 수칙 7가지

1. 카메라 접근 권한 앱 주기적 점검

  • 설정 > 앱 > 권한에서 카메라 접근 허용 앱 직접 확인
  • 기능과 무관한 앱은 즉시 권한 차단 또는 삭제

2. 안드로이드·iOS 최신 버전 유지

  • 최신 보안 패치를 통해 권한 우회 취약점 차단

3. 앱스토어 외 앱 설치 금지

  • Play 스토어 외 APK 설치는 악성 앱 유입의 지름길

4. 전면·후면 카메라 커버 사용

  • 사용하지 않을 때는 물리적 커버로 차단

5. 광고 앱·가짜 필터 앱 설치 주의

  • 리뷰가 짧고 반복되는 앱은 피하기
  • 필요 이상으로 많은 권한 요구하는 앱은 의심

6. 백신 앱 및 권한 추적 앱 병행 사용

  • Norton, 알약M, Bouncer 등으로 실시간 감시 가능

7. 의심 사진 발견 시 즉시 신고 및 삭제 요청

  • 포털/커뮤니티/사이트에 유포 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경찰에 즉시 신고

 

당신의 카메라는 당신만의 것이 아닐 수 있다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들고 일상을 기록한다.
하지만 카메라를 들지 않아도, 누군가는 이미 당신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을 수 있다.

몰래 찍힌 사진 한 장이
사생활을 무너뜨리고, 사회적 관계를 흔들 수 있다.
앱 설치 전 ‘권한’ 하나만 더 확인하는 습관이,
당신의 일상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방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