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2

디지털 교도소와 개인정보 유출 문제 : 처벌인가, 범죄인가?

‘정의’를 가장한 공개처형, 디지털 교도소의 그림자2020년, ‘디지털 교도소’라는 이름의 웹사이트가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이 사이트는 성범죄자, 학교폭력 가해자, 몰카범 등의 신상정보를 직접 수집해 공개하면서공권력이 하지 못하는 정의 구현이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가 드러났다.확인되지 않은 제보, 허위사실, 보복성 게시물로 인해무고한 사람의 신상까지 무차별적으로 노출되었고,이로 인한 자살 시도, 이직, 가족 피해 사례도 잇따랐다.디지털 교도소는 어디까지가 ‘정의’이고, 어디서부터 ‘범죄’일까?이번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와 법적 쟁점, 그리고 개인정보 유출의 심각성을 중심으로이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한다. "나는 가해자가 아니다" 억울하게 신상 공개된 대학생의 이야기2..

사이버 보안 10:05:47

AI 얼굴 합성으로 인한 신원 도용 사례와 사이버 보안 예방 수칙

나도 모르는 내 얼굴이 타인의 영상에 사용되고 있다요즘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에서 유명 인플루언서나 연예인의 얼굴이 다른 사람의 몸에 합성된 영상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그 중심에는 AI 기반 딥페이크 기술이 있다.문제는 이러한 합성이 이제는 단순한 장난을 넘어,일반인의 얼굴을 도용해 신분을 위조하거나, 사기 및 음란물 제작에 악용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는 점이다.실제로 2024년 기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경찰청은 “딥페이크를 이용한 신원 도용 범죄가 급증하고 있으며, 피해자의 68%는 일반인”이라고 발표했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AI 얼굴 합성 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도용이 어떻게 이뤄지고, 어떻게 대응하고 예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취업 영상 과제용 얼굴이 성인 영상 합..

사이버 보안 01:24:17